CivicHacking

    [컨퍼런스] Code for Korea Annual Conference | Happy Civic Hacking with CODE4KOREA

    코로나19 상황에서 공적 마스크 재고 현황 데이터 개방을 추진하고, 개인안심번호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 시빅해커의 이야기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6월 30일 이런 이야기를 엿들을 수 있는 Code for Korea Annual Conference 가 열립니다 ! 기술과 오픈소스를 이용한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일시: 2022년 6월 30일 (목) 13:00 ~ 17:30 - 대상: 기술을 이용한 사회문제에 관심 있는 누구나(개발자가 아니어도 됩니다 ! 학생도 환영합니다 !) - 주최: 코드포코리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행정안전부 공동 주최 - 장소: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 https://m.onoffmix.com/event/256507 H..

    코드포코리아 프로젝트 진행 상황

    나는 코드포코리아(Code for Korea, https://codefor.kr) 에서 1년 넘게 활동을 해오고 있는 상황이다. 팀 빌딩 단계에서부터 함께 참가하며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했었고, 그 과정에서 크고 작은 프로젝트 몇 개를 마무리하기도 했다. 마무리된 프로젝트 중에선 코로나19 공공데이터 공동대응, 개인안심번호 같은 굵직한 프로젝트들도 있다. 개인안심번호는 다중이용시설을 통한 코로나19의 확산 추적을 위한 수기출입명부를 작성하는 것에서 시작하게 됐다. 수기출입명부에 휴대전화 번호를 작성하다 보니 어떠한 경로로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범죄에 이용되는 경우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논의를 나누었고, 9개 정도의 아이디어를 도출해서 정부에 제안하고 실제로 그 시스템을..

    KAIST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연구 인터뷰 참가

    지난 2021년 11월 1일(월), KAIST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에서 진행하는 연구에 Interviewee 로 참가했다. 인터뷰 내용은 지난 2020년 공적 마스크 앱 개발과 관련한 몇 가지의 질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작년에 열심히 기여했던 공적 마스크 공공데이터 개방과 앱 개발 사례는 기존의 전통적 정부 주도 거버넌스가 아닌,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소통 중심의 민첩한 거버넌스의 대표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 글은 연구 인터뷰의 질문 중 앞으로 계속해서 되새기고 싶은 내용이 있어 아카이브 목적으로 작성한다. Q. 코로나19 이후로 위기관리를 위한 불확실성/변동성에 대한 대응, 비대면화에 따른 다방면 영역의 기술 적용 방안, 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방안 등을 아우를 수 있는 거버넌스가 주목받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