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l/Craftsmanship

    한기용님과 함께하는 단체챗 회고

    어제(2023.08.29, 화) 저녁에 한기용님과 함께하는 단체챗에 참가했습니다. 평소 다양한 모임과 세미나, 컨퍼런스 등을 참가하는 편인데 여태 참가했던 모임 중 가장 인사이트가 있었던 시간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간략하게 요약해보면, [피드백을 주는 방법] 어떤 피드백을 주고 싶은지 ->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 순서대로 생각하자. 불편함과 친해지려고 노력해야 한다. 팀원에게 항상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면 좋은 매니저가 될 수 없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명확히 하자. 건설적인 피드백 / 부정적인 피드백 등 하나만 이야기해야 한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명확해졌다면 지금 하는 게 맞는지 고민하자. Feedback Framework: 기대 한 것 -> 관찰 한 것 -> 차이 -> 개선계획 [리더로서 ..

    상황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자

    상황 학습이란 무엇인가? 상황 학습은 구성주의 교육철학에 바탕을 둔 학습 이론이다. 구성주의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다. '학습은 학습자의 경험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머릿속에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성주의에서의 학습은 현실과 유사한 맥락에서 이루어질 때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지식은 절대적으로 정형화되고 정체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이 자신의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상황을 바탕으로 구성해 나가는 것이다. 즉, 지식이란 상황적인 것이고 그 지식이 사용될 과제, 맥락, 문화 안에서 생성되는 것이지 결코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이야 말로 유의미한 학습이라 말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은 정체하기 보다는 배우..

    좋은 동료는 어떤 동료일까? (feat. 띵스플로우)

    좋은 동료란 어떤동료일까? 내 주변에는 좋은 동료가 있을까? 나는 좋은 동료일까? 최근 인터뷰를 보면서 든 생각들이다. ---- 소위 말하는 좋은(유명한) 회사에 다니다 이직한 동료?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 총대 메고 뚝딱뚝딱 완성시키는 동료? 나는 주위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동료라고 생각한다. 너무 추상적이니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보자. 본인에게 주어진 일을 열심히 && 잘 하면서도 꾸준한 자기개발을 통해 주변에 동기부여를 도와주는 사람 함께(나, 동료, 회사) 성장하는 것을 지향하는 사람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이상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정말 꿈 같은 동료다. 이런 사람과 함께 일하면 정말 행복하지 않을까? 하지만 현실에서는 적당한 선에서 타협할 필요가 있다. 좋은 동료와 함께한다면 정말 좋..